열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 (+백종원 황금 레시피)
입맛 없을 때 시원하게 먹기 좋은 열무김치는 누구나 좋아하는 대표적인 김치입니다.
아삭한 열무와 톡 쏘는 국물은 잃어버린 입맛을 되찾아 주고, 밥반찬은 물론 국수나 비빔밥에 곁들여 먹어도 일품이죠.
하지만 열무김치는 특유의 풋내 때문에 맛있게 담그기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지금부터 풋내 없이 아삭하고 시원한 열무김치 맛있게 담그는 법과 백종원 황금 레시피까자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열무김치 맛있게 담그는법 (+백종원 황금 레시피)
열무김치 풋내 없이 맛있게 담그는 법
1. 재료 준비 (4인 가족 기준)
- 주재료:
- 열무 2kg
- 쪽파 150g
- 양파 1개
- 붉은 고추 5개 (청양고추 2개 추가 가능)
- 마늘 10쪽
- 생강 1톨 (엄지손가락 크기)
- 밀가루 풀 (밀가루 2큰술 + 물 1컵)
- 절임 재료:
- 굵은 소금 1컵
- 물 2컵
- 양념 재료:
- 고춧가루 1컵
- 멸치 액젓 1/2컵
- 새우젓 3큰술
- 설탕 2큰술
- 찹쌀풀 (찹쌀가루 1큰술 + 물 1/2컵) 또는 매실액 3큰술 (선택 사항)
2. 열무 손질 및 절이기
- 열무 손질:
- 열무는 뿌리 부분을 칼로 살살 긁어 잔뿌리와 흙을 제거합니다.
- 누렇게 시든 잎이나 질긴 잎은 제거하고, 깨끗하게 씻어줍니다.
- 열무를 너무 세게 씻으면 풋내가 날 수 있으니 살살 흔들어 씻는 것이 좋습니다.
- 열무 절이기:
- 큰 볼에 물 2컵과 굵은 소금 1컵을 넣고 잘 녹여줍니다.
- 손질한 열무를 넣고 30분~1시간 정도 절여줍니다.
- 중간에 위아래를 뒤집어주어 골고루 절여지도록 합니다.
- 열무가 숨이 죽고 줄기가 부드럽게 휘어지면 잘 절여진 것입니다.
- 절인 열무는 흐르는 물에 2~3번 헹궈 소금기를 제거하고, 물기를 빼줍니다.
3. 양념 만들기
- 밀가루 풀 만들기:
- 냄비에 물 1컵과 밀가루 2큰술을 넣고 잘 풀어줍니다.
- 약불에서 저어가며 끓이다가 걸쭉해지면 불을 끄고 식혀줍니다.
- 양념 재료 갈기:
- 믹서에 붉은 고추, 양파, 마늘, 생강을 넣고 곱게 갈아줍니다.
- 청양고추를 넣으면 칼칼한 맛을 낼수 있습니다.
- 양념 버무리기:
- 큰 볼에 간 양념, 고춧가루, 멸치 액젓, 새우젓, 설탕, 식힌 밀가루 풀 (또는 찹쌀풀, 매실액)을 넣고 잘 섞어줍니다.
- 찹살풀은 김치에 깊은맛을 내고 매실액은 시원하고 깔끔한 맛을 냅니다.
4. 열무김치 버무리기
- 큰 볼에 절인 열무와 쪽파를 넣고 준비한 양념을 넣어 버무립니다.
- 열무 줄기 부분에 양념을 골고루 발라주고, 잎 부분은 살살 버무려줍니다.
- 열무김치를 버무릴 때는 너무 세게 주무르면 풋내가 날 수 있으니 살살 버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 마지막으로 간을 보고 부족한 간은 소금이나 액젓으로 맞춰줍니다.
5. 열무김치 숙성 및 보관
- 버무린 열무김치는 김치통에 담아 실온에서 하루 정도 숙성시킨 후, 냉장고에 넣어 보관합니다.
- 열무김치는 익을수록 맛이 깊어지지만, 너무 오래 익으면 풋내가 날 수 있으므로 적당히 익혀 먹는 것이 좋습니다.
- 열무김치는 익는 정도에 따라 국물이 생길 수 있습니다. 국물이 너무 많이 생기면 따라내고 드시면 됩니다.
6. 열무김치 맛있게 담그는 꿀팁
- 신선한 열무 고르기: 열무는 잎이 연하고 줄기가 통통하며 싱싱한 것을 고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뿌리 부분은 흰색을 띠고 잔털이 적은 것이 좋습니다.
- 열무 절이기: 열무를 너무 오래 절이면 질겨지고 풋내가 날 수 있으므로, 30분~1시간 정도만 절이는 것이 좋습니다.
- 양념 비율: 양념 비율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조절할 수 있지만, 너무 짜거나 맵지 않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 밀가루 풀 또는 찹쌀풀 사용: 밀가루 풀이나 찹쌀풀을 사용하면 양념이 잘 어우러지고 김치에 깊은 맛을 더할 수 있습니다.
- 설탕 대신 매실액 사용: 설탕 대신 매실액을 사용하면 열무김치에 시원하고 깔끔한 맛을 더할 수 있습니다.
- 마늘과 생강: 마늘과 생강은 열무김치의 잡내를 제거하고 풍미를 더해줍니다.
- 쪽파 활용: 쪽파는 열무김치의 시원하고 알싸한 맛을 더해줍니다.
- 보관 방법: 열무김치는 익을수록 맛이 깊어지지만, 너무 오래 익으면 풋내가 날 수 있으므로 적당히 익혀 먹는 것이 좋습니다.
- 다양한 활용: 열무김치는 밥반찬은 물론 국수나 비빔밥에 곁들여 먹어도 맛있습니다. 열무김치 국물에 밥을 말아 먹거나, 열무김치전을 만들어 먹어도 별미입니다.
- 지역별 특색: 열무김치는 지역별로 다양한 특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라도 열무김치는 젓갈을 많이 넣어 깊은 맛을 내고, 경상도 열무김치는 마늘과 생강을 많이 넣어 칼칼한 맛을 냅니다.
7. 추가 팁
- 열무김치에 풋고추나 홍고추를 추가하면 매콤한 맛을 더할 수 있습니다.
- 열무김치에 멸치 육수나 다시마 육수를 추가하면 시원한 맛을 더할 수 있습니다.
- 열무김치에 찹쌀풀 대신 멥쌀풀을 사용해도 좋습니다.
- 열무김치에 설탕 대신 양파나 배를 갈아 넣으면 단맛을 더할 수 있습니다.
백종원 열무김치 황금 레시피
백종원 열무김치 레시피는 여러 가지 버전이 있지만,
오늘은 '맛남의 광장'에서 소개된 레시피를 기반으로 알려드릴겠습니다.
재료 (4인 가족 기준)
- 열무: 2kg
- 얼갈이: 800g
- 쪽파: 150g
- 양파: 1개
- 붉은 고추: 5개 (청양고추 2개 추가 가능)
- 마늘: 10쪽
- 생강: 1톨 (엄지손가락 크기)
- 밀가루 풀: 밀가루 2큰술 + 물 1컵
- 절임 재료: 굵은 소금 1컵, 물 2컵
- 양념 재료: 고춧가루 1컵, 멸치 액젓 1/2컵, 새우젓 3큰술, 설탕 2큰술, 찹쌀풀 (찹쌀가루 1큰술 + 물 1/2컵) 또는 매실액 3큰술 (선택 사항)
만드는 법
- 열무, 얼갈이 손질 및 절이기:
- 열무와 얼갈이는 뿌리 부분을 손질하고 깨끗하게 씻어줍니다.
- 큰 볼에 물 2컵과 굵은 소금 1컵을 넣고 잘 녹여 소금물을 만들어 줍니다.
- 소금물에 손질한 열무와 얼갈이를 넣고 30분~1시간 정도 절여줍니다.
- 중간에 위아래를 뒤집어주어 골고루 절여지도록 합니다.
- 절인 열무와 얼갈이는 흐르는 물에 2~3번 헹궈 소금기를 제거하고, 물기를 빼줍니다.
- 양념 만들기:
- 냄비에 물 1컵과 밀가루 2큰술을 넣고 잘 풀어 밀가루 풀을 만들어 줍니다.
- 믹서에 붉은 고추, 양파, 마늘, 생강을 넣고 곱게 갈아줍니다.
- 큰 볼에 간 양념, 고춧가루, 멸치 액젓, 새우젓, 설탕, 식힌 밀가루 풀 (또는 찹쌀풀, 매실액)을 넣고 잘 섞어줍니다.
- 열무김치 버무리기:
- 큰 볼에 절인 열무, 얼갈이, 쪽파를 넣고 준비한 양념을 넣어 버무립니다.
- 열무와 얼갈이 줄기 부분에 양념을 골고루 발라주고, 잎 부분은 살살 버무려줍니다.
- 마지막으로 간을 보고 부족한 간은 소금이나 액젓으로 맞춰줍니다.
- 열무김치 숙성 및 보관:
- 버무린 열무김치는 김치통에 담아 실온에서 하루 정도 숙성시킨 후, 냉장고에 넣어 보관합니다.
백종원 열무김치 꿀팁
- 열무와 얼갈이는 너무 오래 절이면 질겨지고 풋내가 날 수 있으므로, 30분~1시간 정도만 절이는 것이 좋습니다.
- 양념 비율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조절할 수 있지만, 너무 짜거나 맵지 않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 밀가루 풀이나 찹쌀풀을 사용하면 양념이 잘 어우러지고 김치에 깊은 맛을 더할 수 있습니다.
- 설탕 대신 매실액을 사용하면 열무김치에 시원하고 깔끔한 맛을 더할 수 있습니다.
- 여름철에는 홍고추를 갈아서 사용하면 더욱 시원하고 맛있는 김치를 만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아삭하고 시원한 열무김치를 맛있게 담그는 황금 레시피와 꿀팁을 자세히 알려드렸습니다.
김치류는 어렵다고 생각하시는 분들 많은데 한번만 도전해 보면 다음부터는 자신감이 생깁니다.
직접 만든 열무김치 정말 꿀맛입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요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토란 537회 최연수 집순두부 순두부덮밥 레시피 유튜브 오늘식탁 (0) | 2025.04.20 |
---|---|
이모카세 배추전 봄동전 양념장 꿀팁 황금레시피 (0) | 2025.04.13 |
오징어볶음 국물안나오게 맛있게 만드는법 (+백종원 황금레시피) (0) | 2025.03.17 |
닭볶음탕 맛있게 만드는법 (+백종원 닭볶음탕 황금레시피) (0) | 2025.03.15 |
황태채 볶음 맛있게 만드는법 (+백종원 황금 레시피) (0) | 2025.03.15 |